17135번: 캐슬 디펜스
첫째 줄에 격자판 행의 수 N, 열의 수 M, 궁수의 공격 거리 제한 D가 주어진다.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격자판의 상태가 주어진다. 0은 빈 칸, 1은 적이 있는 칸이다.
www.acmicpc.net
문제
캐슬 디펜스는 성을 향해 몰려오는 적을 잡는 턴 방식의 게임이다. 게임이 진행되는 곳은 크기가 N×M인 격자판으로 나타낼 수 있다. 격자판은 1×1 크기의 칸으로 나누어져 있고, 각 칸에 포함된 적의 수는 최대 하나이다. 격자판의 N번행의 바로 아래(N+1번 행)의 모든 칸에는 성이 있다.
성을 적에게서 지키기 위해 궁수 3명을 배치하려고 한다. 궁수는 성이 있는 칸에 배치할 수 있고, 하나의 칸에는 최대 1명의 궁수만 있을 수 있다. 각각의 턴마다 궁수는 적 하나를 공격할 수 있고, 모든 궁수는 동시에 공격한다. 궁수가 공격하는 적은 거리가 D이하인 적 중에서 가장 가까운 적이고, 그러한 적이 여럿일 경우에는 가장 왼쪽에 있는 적을 공격한다. 같은 적이 여러 궁수에게 공격당할 수 있다. 공격받은 적은 게임에서 제외된다. 궁수의 공격이 끝나면, 적이 이동한다. 적은 아래로 한 칸 이동하며, 성이 있는 칸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게임에서 제외된다. 모든 적이 격자판에서 제외되면 게임이 끝난다.
게임 설명에서 보다시피 궁수를 배치한 이후의 게임 진행은 정해져있다. 따라서, 이 게임은 궁수의 위치가 중요하다. 격자판의 상태가 주어졌을 때, 궁수의 공격으로 제거할 수 있는 적의 최대 수를 계산해보자.
격자판의 두 위치 (r1, c1), (r2, c2)의 거리는 |r1-r2| + |c1-c2|이다.
입력
첫째 줄에 격자판 행의 수 N, 열의 수 M, 궁수의 공격 거리 제한 D가 주어진다.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격자판의 상태가 주어진다. 0은 빈 칸, 1은 적이 있는 칸이다.
출력
첫째 줄에 궁수의 공격으로 제거할 수 있는 적의 최대 수를 출력한다.
제한
- 3 ≤ N, M ≤ 15
- 1 ≤ D ≤ 10
import java.util.ArrayList;
import java.util.Scanner;
public class BOJ_17135 {
static int N, M, D, max;
static int selected[];//궁수들 위치.조합 결과 0, 1, 2
static ArrayList<Enemy> elist;
static class Enemy{
int r, c;
public Enemy(int r, int c) {
this.r = r;//한행 하강할 때 조정 +1
this.c = c;//더 왼쪽에 있는 적 결정할 때 사용
}
@Override
public String toString() {
return "Enemy [r=" + r + ", c=" + c + "]";
}
}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
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;
//1.초기값 입력
N = sc.nextInt();//행
M = sc.nextInt();//열
D = sc.nextInt();//유효거리
selected = new int[3];
//2.적 정보 입력
elist = new ArrayList<>();
for (int i = 0; i < N; i++) {
for (int j = 0; j < M; j++) {
if(sc.nextInt() == 1) {
elist.add(new Enemy(i,j));
}
}
}
//3.궁수의 조합을 만들어 각 조합마다 몇명을 죽일 수 있는지 계산 =>max
combination(0,0);
//4.max 출력
System.out.println(max);
}
//궁수 조합 만들기. 적을 죽여보고 max 갱신
private static void combination(int cnt, int start) {
if(cnt == 3) {//조합 한개 완성. 궁수 3명 준비-> 쏴보기
ArrayList<Enemy> elist2 = new ArrayList<>();//copy
for(Enemy x: elist) {
elist2.add(new Enemy(x.r, x.c));
}//복사본. 각 조합마다 쏴봐야 하므로 원본에는 손대면 안됨
int killed = gameStart(elist2, selected);//하나의 궁수 조합 당 사살된 적의 수
max = Math.max(max, killed);
return;
}
for (int i = start; i < M; i++) {
selected[cnt] = i;//0~
combination(cnt + 1, i + 1);
}
}
//하나의 궁수 조합으로 죽일 수 있는 적의 수 계산해서 리턴
private static int gameStart(ArrayList<Enemy> elist2, int[] selected) {
int cnt = 0;//적의 수
while(elist2.size() != 0) {//적이 있는 동안
ArrayList<Enemy> tmp = new ArrayList<>();
//궁수3명이 쏠거임.자신에게서 제일 가까운 적을 찾아서 모아놈.
for (int pos: selected) {
int targetIndex = findNear(elist2, pos);//자신에게서 제일 가까운 적을 찾아
if(targetIndex >= 0) {//적이 있으면
tmp.add(elist2.get(targetIndex));
}
}//요기까지 오면 궁수 3명이 tmp에 죽일 놈 정보를 저장한 후!!!
//요기서 죽임
for(Enemy x : tmp) {
if(elist2.remove(x)) {//삭제한 경우
cnt++;//죽일놈 증가
}
}
enemyDown(elist2);//적 하강
}
return cnt;
}
private static void enemyDown(ArrayList<Enemy> elist2) {
//list에서 하나씩 꺼내서 r값 +1
//N을 넘지 않는지 체크 -> 넘으면 삭제
int size = elist2.size();
while(size>0) {
if(elist2.get(0).r+1 < N) {
elist2.add(new Enemy(elist2.get(0).r+1, elist2.get(0).c));
}
elist2.remove(0);
size--;
}
}
private static int findNear(ArrayList<Enemy> elist2, int pos) {
int targetidx = -1;
int[] dist = new int[elist2.size()];
for (int i = 0; i < elist2.size(); i++) {
dist[i] = Math.abs(elist2.get(i).r - N)+ Math.abs(elist2.get(i).c - pos);
}
int min = Integer.MAX_VALUE;
for (int i = 0; i < dist.length; i++) {
if(dist[i]>D) continue;
if(min>dist[i]) {
min = dist[i];
targetidx = i;
}
else if(min == dist[i] && targetidx >= 0 && elist2.get(i).c < elist2.get(targetidx).c) {
min = dist[i];
targetidx = i;
}
}
return targetidx;
}
}
'Algorithms > BOJ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] 16935. 배열 돌리기 3 (0) | 2021.02.21 |
---|---|
[Java] 1987. 알파벳 (0) | 2021.02.19 |
[Java] 11279. 최대 힙 (0) | 2021.02.17 |
[Java] 17928. 오큰수 (0) | 2021.02.16 |
[Java] 1149. 부분수열의 합 (0) | 2021.02.15 |